AMD APU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MD APU는 CPU와 GPU를 하나의 다이에 통합한 프로세서로, 2006년 ATI 인수를 통해 GPU 기술을 확보한 후 퓨전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되었다. 4년의 개발 연기 끝에 2011년 라노(Llano)를 시작으로 A 시리즈 APU가 출시되었으며, 이후 젠 아키텍처 기반의 APU가 등장했다. 현재는 라이젠 브랜드로 통합되어 모바일 APU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으며, 각 제품은 화가의 이름을 코드명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기종 시스템 아키텍처 - 스팀롤러 (마이크로아키텍처)
스팀롤러는 AMD가 불도저 아키텍처를 개선하여 개발한 마이크로아키텍처로, 클러스터형 멀티스레딩 방식과 성능 향상을 통해 카베리 APU, 고다바리 APU 등에 사용되었다. - 시스템 온 칩 - 애플 실리콘
애플 실리콘은 애플이 자체 설계한 시스템 온 칩(SoC) 제품군으로,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 다양한 애플 기기에 사용되며 A, H, M, R, S, T, U, W 시리즈 및 M 시리즈 보조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 시스템 온 칩 - 미디어텍
미디어텍은 1997년 설립된 대만의 반도체 설계 회사로, 스마트폰 칩셋 공급업체로 성장하여 2020년 퀄컴을 제치고 세계 최대 규모가 되었으며, AIoT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탄소 순 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한다. - AMD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밥캣 (마이크로아키텍처)
밥캣은 AMD가 개발한 저전력 x86-64 마이크로아키텍처로, 퓨전 APU 제품군의 CPU 코어이며 넷북, 초소형 노트북, 가전 제품, 임베디드 시장을 목표로 작은 회로 규모와 낮은 전력 소비를 우선으로 설계되었다. - AMD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AMD K5
AMD K5는 인텔 펜티엄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x86 호환 CPU로, 아웃 오브 오더 실행, 추측 실행, 레지스터 재명명 등의 고급 기능을 갖춘 RISC 코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소켓 5/7 메인보드와 호환되도록 출시되었으나, 시장 경쟁 심화와 제조 문제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AMD APU | |
---|---|
일반 정보 | |
장치 명칭 | Accelerated Processing Unit |
생산 시작 | 2011년 |
생산 종료 | 2018년 |
최고 속도 | 4.2 GHz |
최소 공정 | 40nm bulk |
최대 공정 | 28nm |
설계 회사 | AMD |
제조사1 | 글로벌파운드리 |
소켓1 | FP1~AM4 |
아키 | 라노 트리니티 리치랜드 카베리 카리조 브리스톨 릿지 |
마이크로아키 | 엑스카베이터 (마이크로아키텍처) |
GPU | 라데온 R 시리즈 |
후속 모델 | 라이젠 APU |
2. 역사
AMD는 CPU와 GPU를 하나의 다이에 통합하는 SoC 개발을 목표로 하는 "퓨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2006년 ATI 인수를 통해 라데온 GPU 기술을 확보하면서 본격화되었으나, 기술적 문제와 의견 차이로 인해 개발이 4년 동안 지연되었다.[3]
2011년 1월 4일, AMD는 CES 2011에서 1세대 APU인 라노(Llano)를 공개하고, 2011년 6월에 공식 출시했다. 라노는 K10 아키텍처 기반 CPU와 라데온 HD 6000 시리즈 기반 GPU를 탑재하고 FM1 소켓을 사용했다. 저전력 기기용 APU는 브라조스(Brazos) 플랫폼으로 개발되었다.[4]
2016년에는 젠 아키텍처 기반의 7세대 APU 브리스톨 릿지가 출시되었고,[5] 2017년에는 젠 코어를 적용한 APU 레이븐 릿지가 등장했다.[2] 2018년, 레이븐 릿지가 라이젠 브랜드로 통합되면서 APU 브랜드는 사라졌다.[6]
2. 1. 퓨전 프로젝트 (2006년 ~ 2011년)
AMD는 '''퓨전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CPU와 GPU, 두 장치를 하나의 다이 안에 집적시킬 수 있는 SoC (단일 칩 체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2006년, ATI가 AMD의 산하로 들어온 뒤, ATi의 라데온 GPU 기술을 얻은 뒤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 AMD는 이 프로젝트를 퓨전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를 향해 개발하고 있었으나, 45nm 공정에서 집적하는 도중에 생긴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와 CPU와 GPU의 기능을 두고 견해가 달라 의견 갈등이 생기는 등 4년의 연기가 이어졌다.[3]2. 2. 1세대 APU: 라노 (2011년)
2011년 1월 4일, AMD는 4년간의 개발 끝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1에서 데스크톱 및 노트북용 A 시리즈 1세대 APU인 라노(Llano)를 공개하고, 2011년 6월에 공식 발매했다. 라노는 K10 아키텍처 기반의 CPU와 라데온 HD 6000 시리즈 기반의 GPU를 한 다이 안에 탑재했으며, FM1 소켓을 채택했다. 저전력 기기용 APU는 밥캣 아키텍처 기반의 CPU와 라데온 HD 6000 시리즈 기반의 GPU를 탑재한 브라조스 (Brazos) 플랫폼으로 개발되었다.[4]2. 3. 젠 아키텍처 기반 APU (2016년 ~ 현재)
2016년, AMD는 불도저 계열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SMT 기반의 젠 아키텍처를 공개하면서, AMD의 새로운 소켓 AM4를 처음 적용한 7세대 A 시리즈 APU인 브리스톨 릿지를 정식 공개했다.[5] 2017년 하반기를 목표로 새로운 젠 코어를 적용한 APU 레이븐 릿지도 등장했다.[2] 2018년, 8세대 APU 레이븐 릿지가 라이젠 브랜드로 통합되면서 APU 독립 브랜드는 막을 내렸다.[6]3. 로드맵
Sabine (랩탑)
Comal (랩탑)
Weatherford
Richland